고암동 주택
확장하는 시내와 택지 개발지에 면하는 곳의 3개 필지를 동시에 개발하는 프로젝트이다.
작은 규모와 최소 공사비 등 이전에도 늘 제기하는 숙제에 대한 또 하나의 답안이다.
간결한 형태 소량이라도 쉬운 재료 단순한 디테일 등 설계가 발휘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건축을 시종 염두에 둔 건이다. 다른 크기의 같은 모양으로 비례 감을 느끼는 두 개의 박스 같은 요소의 두 오브제를 연결하고 약간의 변화를 주기 위한 이질 재료로 된 선형요소가 어우러진 형태이다.
실제 스케일에서 어떻게 느껴질지 확신할 순 없지만…
덕천리 주택
지형적인 조건에서 일반의 상식과 대치되는 경우의 과제다
북측이 트이고 멀리 저수지가 바라다보이는 양호한 경관인 반면 반대로 남측은 경사면의 야산에 막혀 있는 주택지로서 좋지 않은 요소들이 두드러진 대지이다.
동서로 긴 대지의 중앙으로 건물을 배치하고 남북 양쪽에 데크와 발코니를 주는 방법으로 향에 관련된 불리함을 감소시켰다.
거실과 주방을 하나의 박스로 안방을 또 하나의 박스로 하여 층의 긴 박스를 떠받치는 형상이다.
입면은 점토 벽돌과 적삼목을 색체구성 하듯이 배열하였다.
고막리 주택
김포에서 강화로 가는 국도를 따라가다 보면 애기봉, 김포조각공원이란 이정표가 나오고 그쪽으로 우회전해서 다시 조각공원 방향으로 1킬로미터 남짓 가면 이 대지가 속한 동네가 나온다. 뒷편은 산이고 전면은 동네가 펼쳐진 농촌의 한 귀퉁이이다.
집주인이 이 땅을 구입하기 몇 년 전에 한 개발업자가 농지를 개발해서 전원주택지로 꾸민 것을 구입한 거다. 1 50~200평 크기로 조성된 열 개 필지중 2개를 구입해 그 중 하나에 주택을 짓고 나머지는 전부 정원으로 꾸며서 넓은 정원으로 자연 속에 꾸민 자연을 넣겠다는 것이다. 그런 건축주의 바램 때문에 건물은 최대한 북쪽으로 붙여서 배치가 이루어졌다.
긴 장방형의 박스에 정방형에 가까운 작은 세 개의 박스가 삽입된 형태구성이다. 큰 박스와 작은 박스의 차이는 질감과 색상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두는 방법으로 증폭시켰다.
처음에 계획했던 노출콘크리트와 파벽돌의 조합이 그것인데 시공성과 경제성의 한계에 대한 불안감으로 노출 콘크리트는 방부목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지금도 무척 아쉬운 부분인데 더구나 색상조차 엉뚱하게 선정되었다.
평면의 동선이 1 , 2층 모두 중앙을 관통하는 복도기능의 선형공간을 내고 남북으로 들고 나면서 각 실들이 배치되고 계단실을 기준으로 스킾플로어형으로 된 서재처럼 단면에서의 동선 또한 같은 원리이다. 넓은 대지와 법이나 지형상의 제약이 없는 것이 평면 계획이나 단면계획 등을 자유롭게 하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내부공간구성에 관한한 전적으로 그런 건 아니다.
대학교수와 공무원인 건축주 부부의 열정이 건축가를 감동시킬 정도였던 반면 공사과정 내내 불거진 시공사와의 마찰이 설계자 건축주 시공사 모두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한 원인이라 생각한다. 어쨌든 산업자원부에서 지원하는 태양발전설비, 노출콘크리트, 방부목, 박판 단열재 등 여러 가지를 경험했던 프로젝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