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동 BBN-DD

지하철 9호선 역사와 맞닿은 사거리 코너에 위치한 임대용 건물이다.

초 역세권의 토지효율에 부응하는 사업성으로 인해 건축면적에 비해 층수가 높아 수직으로 세장한 건물이 되었고 그로 인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최상층 부에 두드러진 이미지를 첨가 하였다.

화곡동 MULTI-PLEX

지구단위 계획이 이루어진 곳으로 대지 내에 공개공지 보행자 통로 등이 지정되어 층 외부 동선의 계획에 제약이 있는 대지이다.

대지의 전후 깊이가 짧아서 진출입 동선을 분리하는 평면으로는 객석의 규모가 작아지므로 고심 하였으나 동선의 원활함이 영업과 관련한 사업성에도 영향이 있으므로 우선 고려요소로 적용하였다.

제주 노인병원

요구하는 면적이 커서 부득이 지하를 활용하게 되었으므로 지상과 비슷한 수준의 거주환경을 위해 대형 오픈 공간을 계획하였다.

내부기능의 중심을 각층 중앙에 위치한 N.S로 하고 외부형태에서도 건물중심으로 하여 경사로 된 유리면을 삽입하였다.

하계동 주택 (2)

3대에 걸쳐 다듬으며 관리하던 고택을 헐고 두 세대가 거주하는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혼자되신 아버님을 배려하는 공간과 디테일을 동네 효자로 소문난 아들이 직접 관여하여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가 창출되었다.

1층에 동서로 각 세대의 공간을 배치하고 가운데 온 가족의 공용 공간을 배치하였다아버님방 주변에 공용화장실과 주방을 배치하여 편리성을 높였다청고벽돌과 흰색 라임스톤의 대비된 칼라로 분절된 매스블록의 조형적 시인성을 높였다.

공간간의 내부적 연결과 외부형태의 조형적 조화가 두드러지도록 각 재료의 물성과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비움과 채움이 적용된 프로젝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