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 주택

서울의 고급주택가이면서 북한산 자락을 연장하는 경사지에 조성된 평창동의 한 대지에 건축되는 주택이다.

주변의 주택들이 그렇듯이 평 면적에 한 가족이 생활하는 내용으로 평면이 구성된다.

5M가 넘는 대지 전후의 고저차로 인해 북쪽 진입도로와 건물 사이 빛을 유입할 수 있는 공간을 삽입하여 전면 마당과 후면 마당의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인허가 과정에서 현행법과 행정적 규제의 벽에 막혀 적용되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운 프로젝트이다.

용문 중원리 주택

봄날 나물 캐러 오는 이 말고는 인적이 전혀 없던 산골짝 아담한 계곡에 물 물이 제법 흐르는 북쪽기슭의 일부를 걷어내고 조성한 여섯 필지 중 위에서 네 번째 땅이다.

주변은 건들기가 아까울 만큼 손때가 묻지 않은 천연림 그대로이다까다로운 행정절차로 인해 년여에 걸쳐 조성된 이곳에는 이미 두 채의 주택이 지어져 있었는데 하나는 통나무를 재료로 한 목조주택이었다.

주택 평과 창고 평으로 제한된 조건에서 두 동의 기능적 연결한동의 주택으로 사용하기 위한 평면계획의 과제였다.

현관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거실이 놓여진 것이 이런 이유에 대한 대안이었다.

평면계획에 비해 입면계획에서 아쉬움이 많은 프로젝트였다.

자양동 주택

의사부부와 결혼을 앞둔 아들이 거주하는 단독주택이다.

작은 대제에 대가 거주하는 관계로 층별 조닝으로 층을 공용공간으로 하고 층 층을 각각 세대로 구성하였다.

서재와 계단실을 전면대지에 면하게 한 대지여건상 독특한 평면이 이루어진 프로젝트였다.

고암동 주택

확장하는 시내와 택지 개발지에 면하는 곳의 3개 필지를 동시에 개발하는 프로젝트이다.

작은 규모와 최소 공사비 등 이전에도 늘 제기하는 숙제에 대한 또 하나의 답안이다.

간결한 형태 소량이라도 쉬운 재료 단순한 디테일 등 설계가 발휘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건축을 시종 염두에 둔 건이다다른 크기의 같은 모양으로 비례 감을 느끼는 두 개의 박스 같은 요소의 두 오브제를 연결하고 약간의 변화를 주기 위한 이질 재료로 된 선형요소가 어우러진 형태이다.

실제 스케일에서 어떻게 느껴질지 확신할 순 없지만

거창 마상리 주택

농가주택으로 층 전체를 창고로 사용하고 층에 주택을 꾸며달라는 주문이다.

창고를 두 개로 나누고 그사이를 계단으로 관통하면서 수직 매스를 삽입시키는 형태구성이다.

주택부분은 층 옥상을 안마당화하는 설정으로 하고 외곽은 대지형상과 사각박스의 병치로 구성하였다.

덕천리 주택

지형적인 조건에서 일반의 상식과 대치되는 경우의 과제다

북측이 트이고 멀리 저수지가 바라다보이는 양호한 경관인 반면 반대로 남측은 경사면의 야산에 막혀 있는 주택지로서 좋지 않은 요소들이 두드러진 대지이다.

동서로 긴 대지의 중앙으로 건물을 배치하고 남북 양쪽에 데크와 발코니를 주는 방법으로 향에 관련된 불리함을 감소시켰다.

거실과 주방을 하나의 박스로 안방을 또 하나의 박스로 하여 층의 긴 박스를 떠받치는 형상이다.

입면은 점토 벽돌과 적삼목을 색체구성 하듯이 배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