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 109 TOWER



설계 소묘

도심지 내에서도 토지효울이 가장 좋은 상업지역에 지어지는 건축물의 건축 계획요소는 필연적으로 토지의 효율을 얼마나 극대화 할 수 있느냐이다.사업기획 단계부터 내외부 설계 그리고 이와 연관된 제 분야의 설계가 진행 될 때도 줄곧 집착하고 고민하는 부분이다.

최고높이가 정해져 있는 대지에 가장 많은 체적을 갖는 형상은 기하학적으로나 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 결국 정형화된 형태로 귀결된다

간선도로 이면에 위치한  중소규모의 대지에 건축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요소들이 형태구성이나 공간구획에 있어 상당한 제약으로 작용한다.

이번 프로젝트 진행의 기저에 장식의 배제와 형태의 단순화가 주제로 깔리게 된 이유이다.

25㎡의 기본 평면모듈을 정직하게 펼친 공간을 배치하고 3.05m의 단면 치수를 적층해서 균일한 창호의 배열로 입면을 구성하였다.직사각형의 나열이 주는 단조로움이 주는 피로를 파벽돌 외장의 개구부를 가능한 깊이 음각시키는 방법으로 상쇄시켰다.

공간내 동선의 흐름에 있어서도 가능한 요철로 인해 생기는 불필요한 공간의 조각들이 생기지 않도록 평면과 단면의 디테일을 조정하였다.

단순하고 정갈한 조형을 위한 디자인 진화 과정
지속가능함을 추구하는 재료와 음각된 조형의 조화



이윤만을 추구하는 상업건축의 한계를 넘어 거주자의 일상을 배려하는 사회적 건축 실현


파벽돌, 목재, 금속 각 재료들이 가지는 색상, 질감과 점, 선으로 이루어진 조명기구의 어울림

빛과 색, 질감의 조화
– 공간의 다양성을 연출 할 수 있는 조명계획

색과 목재의 조화를 통해 아름다운 실내공간 구현
– 심미적 쾌적성을 높여 거주 편리성 향상

가공되지 않은 재료와 비정형 조명 배치
– 단조로운 공간의 피로도 감소


층 전체로 열린 창을 통해 깊게 퍼지는 은은한 햇살은 따뜻한 감성을 불러 일으킨다.


조명기구나 계단 난간 등에도 건물 전체에 통일성 있는 디테일을 적용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루프탑
– 야간조명 설계와 조화로운 색상, 질감의 연출로 공간 소비자의 미려한 거주환경 구축

후평리 주택

십여 채의 농가가 드문드문 박히고 야트막한 산자락에서 시작한 배나무 밭이 동네에까지 뻗어있는 한적한 마을이다.

저쪽에서 차가오면 이쪽에서 한 켠으로 비껴 기다려야 하는 정도의 도로를 따라 야산 바로 밑자락까지 가서야 계획 대지를 접할 수 있었다.

항상 주택설계는 어려운 숙제이다. 형태구성을 생각하기 이전에 벌써 동선에다 가족구성원의 정해져 있는 다양한 요구에다 짜 맞추어야 할 요소들이 한 두 개가 아니다대지 자체에는 고저차가 없지만 후면 산자락에서 마을로 이어지는 경사면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면에서의 배치는 경사면의 리듬을 깨지 않는 구도를 생각했다.

두 개의 블록을 평행하게 병치하고 후면 블록을 한층 높이는 방법으로 경사면에 대응시켰다. 두 개의 블록과 매스 이두 요소의 틈을 형태구성의 주 재료로 하고 이들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태를 선형이 되도록 의도하다. 입면에서 상하부를 가르는 H형강과 거실 앞에 놓인 등이 그것이다.

정해진 면적(60) 보다 커 보이는 형태의 볼륨이것은 건축주의 요구사항 이었다을 위해 후면 대지경계선을 따라 구조를 노출시키고 그 위에 2층을 얹어 놓았다.

좌우 측면에서의 Facade는 정방형에 가까운 2개의 Box를 엇갈려 놓고 갈라진 원호를 지붕으로 구성하였다. 상하 좌우의 비례에 관계하는 보완요소로의 설정이다.

거실전면의 구조물은 거실 내에서 이중의 Picture Frame을 의도하는데 내려다보이는 마을의 정경에 인위적 구도를 부여하려 함이다.

건축주의 잦은 해외출장에도 불구하고 국제전화 팩스 등으로 상당한 토의를 하던 건축주, 건축가 모두 대단한 열정으로 진행한 프로젝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