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 109 TOWER



설계 소묘

도심지 내에서도 토지효울이 가장 좋은 상업지역에 지어지는 건축물의 건축 계획요소는 필연적으로 토지의 효율을 얼마나 극대화 할 수 있느냐이다.사업기획 단계부터 내외부 설계 그리고 이와 연관된 제 분야의 설계가 진행 될 때도 줄곧 집착하고 고민하는 부분이다.

최고높이가 정해져 있는 대지에 가장 많은 체적을 갖는 형상은 기하학적으로나 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 결국 정형화된 형태로 귀결된다

간선도로 이면에 위치한  중소규모의 대지에 건축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요소들이 형태구성이나 공간구획에 있어 상당한 제약으로 작용한다.

이번 프로젝트 진행의 기저에 장식의 배제와 형태의 단순화가 주제로 깔리게 된 이유이다.

25㎡의 기본 평면모듈을 정직하게 펼친 공간을 배치하고 3.05m의 단면 치수를 적층해서 균일한 창호의 배열로 입면을 구성하였다.직사각형의 나열이 주는 단조로움이 주는 피로를 파벽돌 외장의 개구부를 가능한 깊이 음각시키는 방법으로 상쇄시켰다.

공간내 동선의 흐름에 있어서도 가능한 요철로 인해 생기는 불필요한 공간의 조각들이 생기지 않도록 평면과 단면의 디테일을 조정하였다.

단순하고 정갈한 조형을 위한 디자인 진화 과정
지속가능함을 추구하는 재료와 음각된 조형의 조화



이윤만을 추구하는 상업건축의 한계를 넘어 거주자의 일상을 배려하는 사회적 건축 실현


파벽돌, 목재, 금속 각 재료들이 가지는 색상, 질감과 점, 선으로 이루어진 조명기구의 어울림

빛과 색, 질감의 조화
– 공간의 다양성을 연출 할 수 있는 조명계획

색과 목재의 조화를 통해 아름다운 실내공간 구현
– 심미적 쾌적성을 높여 거주 편리성 향상

가공되지 않은 재료와 비정형 조명 배치
– 단조로운 공간의 피로도 감소


층 전체로 열린 창을 통해 깊게 퍼지는 은은한 햇살은 따뜻한 감성을 불러 일으킨다.


조명기구나 계단 난간 등에도 건물 전체에 통일성 있는 디테일을 적용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루프탑
– 야간조명 설계와 조화로운 색상, 질감의 연출로 공간 소비자의 미려한 거주환경 구축

화곡동 MULTI-PLEX

지구단위 계획이 이루어진 곳으로 대지 내에 공개공지 보행자 통로 등이 지정되어 층 외부 동선의 계획에 제약이 있는 대지이다.

대지의 전후 깊이가 짧아서 진출입 동선을 분리하는 평면으로는 객석의 규모가 작아지므로 고심 하였으나 동선의 원활함이 영업과 관련한 사업성에도 영향이 있으므로 우선 고려요소로 적용하였다.

통영 상업시설 계획안

남해바다 변에 거제도를 마주하고 위치한 도시, 작가 윤이상 선생의 유년기가 묻어있는 도시.

신시가지 개발이 한창인 통영의 상업지에 계획한 건물이다청담동 일대를 같이 돌아보며 그러한 류의 참신한 디자인을 요구한 건축 주였다.

7층 높이에 200여 미터 입면이라 다소 어정쩡한 비율을 가지는 정면을 계단실을 따로 선형요소로 분리하고 그사이에 음각하듯 수직 홈을 만들었다.

투명 복층 유리와 불투명 쉬트를 부착한 유리를 조합해서 외벽유리 커튼월의 패턴을 구성했다.

신천동 MULTI-PLEX 계획안

여러 개의 상영관이 한곳에 있어서 다양한 영화의 선택관람이 가능토록 한 다중 영화관의 계획에서의 주안점은 관객동선의 유도이다.

진입과 진출동선 상영시간이 같거나 다른 실의 교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선 대기자 및 매표자 동선 등의 효율적 분리 유도가 중요한 요소이다.

대지의 크기, 건물의 평면규모에 여유가 있는 대지라면 전후로 나누어진 출입동선이 유리하다.

이 프로젝트 역시 전후로 동선을 분리 유도하였다.

M성당 주차장 계획안

현재 옥외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수용대수의 부족으로 자주식 주차건물을 계획한 프로젝트이다.

철골조 주차전용건물의 건조한 이미지를 지양하고 패션과 상업의 중심지에 위치한 만큼의 미관을 갖추어 달라는 요구이다.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할된 부재에 불규칙하지만 비례를 고려해서 판넬을 설치하고 각각에 다양한 성화를 인쇄하였다판넬들 사이의 수평재와 정문 아치들에 채도가 높은 색을 칠하여 다른 요소들과 대비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