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질감이 다른 매스가 저층부의 완충으로 연결된 형태다.
평면에서는 층별로 나누어서 배치된 세대간 동선의 분리가 외부형태에서 마감재료를 달리함으로 분리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1층에 공용공간과 1세대 주거공간을 2층에 2세대 가족의 독립된 공간을 구성하였다. 도로에 접한 길이가 짧은 대지를 분할 하느라 1층의 사생활이 다소 침해 받은 것은 음영과 차폐조경을 계획하여 일부 해소하였다.
고벽돌과 징크판넬이 병치된 형태와 어울려 조형적으로 대비되는 외관을 창출한 건축이다.